728x90

순임금의「 동순망질 사근동후東巡望秩 肆覲東后」
‘동순망질 사근동후’라는 구절은『 서경』「 우서虞書의 순전舜典」에 나온다.“ (순임금이) 동쪽 지역을 순수하여 태산泰山에 이르러 시柴 제사를 지내고, 산천을 바라보며 차례대로 제사한 뒤 마침내 동방의 천자를 찾아뵈었다”[東巡守至于岱宗, 柴, 望秩于山川, 肆覲東后]. 여기서 동후東后는 결코 제후가 아니다. 그런데 중국 사가들은 한결같이 동후를‘ 동방의 제후’[東方之諸侯也]라 해석해 왔다. 또한 요즈음 나오는『 서경』번역서들도 모두 중국측 억지 해석을 그대로 추종하는 한심한 실정이다.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는 “后:君后. 我后. 夏后. 夏言后者. 白虎通云: 以揖讓受于君, 故稱后. 告于皇天后土.”라고 하였다. 여기서‘ 후后’ 자는 군주君主를 지칭하는 말이다. 제후를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또‘ 근覲’ 자는 ‘하현상下見上’, 즉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문안 드린다는 말이다.『 강희자전』은“ 천자가 즉위하면 제후들이 북면하여 천자께 알현하는 것을 일러 근覲이라 한다”[天子當依而立, 諸侯北面, 而見天子曰覲.]라고 하였으니,‘ 제후인 순舜임금이 그 종주국의 천자인 단군왕검을 알현하였다’는 것이‘ 사근동후’의 본뜻이다. 그러므로“ 동방의 제후를 찾아뵙다”라고 한 중국측의 해석은 역사의 진실을 왜곡한 아전인수격의 억지 해석에 지나지 않는다.『 서경』의 이 구절이야말로 고대 한·중 관계사를 사실 그대로 극명하게 밝힌 매우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여기서『 서경』 본래의 뜻을 살려 원문을 해석하면,“ 순임금이 요임금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은 뒤에 차례로 천신과 산천에 제사를 지내고 동방의 천자이신 단군왕검을 찾아뵈었다”[肆覲東后]가 된다.『 ( 환단고기』역주본 본문 488쪽 미주)

국호의 변천
『환단고기』에 따르면 단군조선의 44세 구물 단군께서 BCE 425년 도읍을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조선에서 ‘대부여大夫餘’로 바꾸셨다. 이후 해모수 단군께서 ‘대부여’를 계승하여 북부여를 개창하셨다. 혈통으로는 해모수의 현손玄孫으로 북부여의 7대 단군이 된 고주몽 성제께서 국호를 고구려로 바꾸었다.『 환단고기』에서는 그동안 미궁에 빠져있었던 부여 역사의 전모를 밝혀줌으로써 고조선에서 열국列國시대를 거쳐 고구려로 이어지는 나라의 계보를 온전하게 밝혀주었다. 우리나라 국호는 첫 번째인 환국부터 마지막 대한민국까지 모두가 광명을 상징한다. 우리 민족은 하늘의 광명을 환桓, 땅의 밝음을 단檀, 천지와 하나 되어 이상을 이룬 완성된 인간을 한韓이라 불렀다. 먼저 환한 광명의 나라 환국桓國에서 밝은 땅이란 의미의 밝달-배달로 이어졌다.

배달국은 달리 단국檀國이라고도 불렀다. 아침에 해가 제일 먼저 비치는 곳(朝光先授之地)이라는 의미의 조선朝鮮을 거쳐, 날이 뿌옇게 밝아온다는 의미의 夫餘, 고대광려高大光麗의 의미에서 고구려高句麗, 동방의 대국大國이라는 뜻에서 대진국大震國,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高麗에서 다시 조선朝鮮으로 이어졌다. 이제‘ 크게 밝은 대인의 나라 대한민국’에서 우리 민족의 천명인 홍익인간을 완성하고 가을우주의 새 역사를 열게 된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