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화랑과 낭화 /소도와 도소


일본의 낭가사상


 이러한 낭가사상이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의 무사도를 만들었다. 일본의 무사도는 중세에 와서 발생하였다. 이때부 터 그들 이름에 랑郞 자를 붙이는 경우가 나타났다. 낭은 화랑도에서 따온 글자이다. 즉 화랑은 죽지랑, 처용랑, 미이랑, 장춘랑 등과 같이 이름에 ‘랑’ 자를 붙여 쓴 것이다.  


 또한 일본인은 의인, 열사, 협객 등의 설화로서 무사도 정신을 고취하는 것을 낭화절浪花節(나이와부시)이라 했다. 


 낭화는 화랑을 거꾸로 쓴 것이다.  일본의 무사도는 바로 조선 신교의 낭가정신에서 시작된 것이다. 일본 근대화의  문을 연 메이지 유신도 무사도 정신이 그 원동력이었다. 


솟대를 포함한  고조선의 소도문화는  일본에 전해져 ‘도소塗蘇’ 라 불리었다.  원래의 이름을 거꾸로 뒤집어 부른 것  이다.  (일본의 낭화절浪花節이란 말에서 ‘낭화’ 도 한국의 ‘화랑’ 을 거꾸로 뒤집은 표현이다)  일본인들이 새해의 평안과 건강을 기원하며 설날 아침에 마시는 술인  도소자께塗蘇酒도 알고 보면 한국의 소도문화의 영향이다.  요컨대  신교의 소도문화는 동북아에서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가 아시아의 보편적 문화가 되었다. 


 - 환단고기 역주본(상생출판)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