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민족의 9천 년 전통신앙인 신교神敎는 인류 정신문화의 원형이다.
아래 글은 신라시대 최치원이 쓴 난랑비서의 첫구절이다. 여기서 말하는 풍류風流의 본래 이름이 바로 한민족의 9천 년 전통신앙인 신교神敎(신의 가르침)이다.
신교의 문자 뜻은 ‘신의 가르침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것이다. ≪단군세기≫에는 이신시교以神施敎, ≪규원사화≫에는 이신설교以神設敎로 쓰여 있다.
신교는 단순히 한민족의 고유 신앙이 아니다. 신교는 환족의 이동과 함께 주요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퍼져나가 인류 정신문화의 원형을 이루었다.
![history_sin_2.jp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fd96391e41d5731be26c8e6d246c865b.jpg)
환국-배달-고조선 이래 한민족은 삼신상제님을 섬기고 상제님의 뜻에 따라 생활하는 것을 삶의 근본으로 삼았다.
![history_sin_11.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f3e052b7272cef4a7cccaacf5e0ae014.png)
삼신상제님을 중심으로, 천지 안의 모든 신들의 은혜와 덕을 칭송하고 상제님의 가르침을 받으며 살아 왔다. 그러한 제천행사는 한민족을 넘어 인류의 원형문화로 정착되었다.
신교 문화에서 우주를 주재하시는 이 한 분(一者)으로부터 하늘, 땅, 인간(과 만물)이 벌어져 나온다. 그래서 하늘·땅·인간 속에는 삼신의 생명과 신성과 지혜와 광명이 그대로 다 들어 있다. 『환단고기』는 이러한 천지인의 관계를 수리數理로써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이라 표현한다. 하늘도 땅도 인간도 모두 하나의 근원자리에서 나왔다는 의미이다.
신교 문화의 우주사상을 전하는 한민족의 3대 경전이 있다. 신교의 우주관을 기록한 『천부경天符經』, 신관이 집약된 『삼일신고三一神誥』, 인간론을 담은 『참전계경參佺戒經』 이 그것이다.
환웅천황은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강론하여 우주관, 신관, 인성론, 수행관에 관한 가르침을 베풀었다. 『천부경』은 환국 때에 구전되어 오다가 배달 시대에 문자로 옮겨진 한민족 최고의 경전이다. 여든 한 자에 불과한 짧은 글이지만, 삼신 사상의 3수 원리를 근거로 하여 천지인天地人 삼위일체三位一體에 대한 정의를 내려 주고 있다. 『천부경』은 우주론과 인간론의 진수가 압축되어 있는 인류사 최초의 계시록이라 할 것이다.
![history_sin_4.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6d9a311469c4992f118ab684906c91c2.png)
… 더 보기
![history_sin_5.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2ce95d2d6da891d9cc391ff2ef89a8b4.png)
삼신사상은 비단 정치제도뿐 아니라,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나타난다.
환인이 환웅에게 천부天符인印 세 개를 주었고, 환웅은 3천 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동방의 밝은 땅에 새 나라를 열었다. 환웅을 찾아온 웅족 여인의 수행 기간도 삼칠(3·7) 도수로 21일이었다.
삼신은 본체가 되고 칠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삼신과 칠성은 신교 문화의 두 축이 된다. 한민족의 어머니들이 예로부터 정화수를 떠 놓고 칠성님께 자손과 가정의 안녕과 축복을 염원하였다. 이를 단순히 민간신앙, 기복신앙으로만 치부할 문제가 아니다.
![history_sin_6.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04b09fb7ad16aa7dc3c6bcbda2857c4b.png)
… 더 보기
![history_sin_8.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5db63169b2361794b86fb62e3f17cf35.png)
단군의 고조선은 국가를 셋으로 나누어 통치하였다. 이를 삼한관경제(三韓管境制)라고 한다다.
“단군왕검은 천하를 평정하시더니 삼한(三韓)으로 나누어 관경(管景)을 만드시고 곧 웅백다(熊伯多)를 봉하여 마한(馬韓)이라고 하였다.” <삼한관경본기 마한세가 상>
“치두남(蚩頭男)은 치우천왕의 후손으로 지혜와 용기가 뛰어나게 세상에 알려졌다. 단군은 곧 불러보시더니 이를 기이하게 여기시고는 곧 그를 번한으로 임명하고 겸직하여 우(虞)의 정치를 감독하게 하였다.” <환단고기 삼한관경본기 번한세가 상>
삼신일체(三神一體), 천지인(天地人), 일체삼용(一體三用) 사상의 원리에 따라 나라(體)는 하나(一)이지만 다스림(用)는 셋(三)으로 했던 것이다.
![history_sin_9.png](http://www.daehansarang.org/files/attach/images/125/072/001/f595ff4b985a51be742dbbd4df850960.png)
『환단고기』 해제 (상생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