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 아인슈타인 E= mc² 틀렸다?..."빛보다 빠른 물질 존재"
빛보다 빠른 소립자의 속도를 측정했다는 주장이 나와 과학계가 술렁이고 있다. 지난 106년간 물리학의 기본축이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깨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빛보다 빠른 소립자 발견에 대한 주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지만, 이번에는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유럽원자핵 공동연구소(CERN)가 측정 사실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이라는 점에서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고조되고 있다.
제임스 질리스 CERN 대변인은 23일 해외 언론과 인터뷰에서 “믿기 힘들지만 빛보다 빠른 아원자입자(sub-atomic particle·원자 보다 작은 소립자)를 측정했다”고 말했다. 오랫동안 과학계의 금과옥조였던 아인슈타인의 근본 우주 법칙을 뒤엎는 발견이다.
이번 실험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연구소에서 소립자를 발사해 730㎞ 떨어진 이탈리아 그란사소 실험실 측정기에서 발사된 소립자를 감지해 내는 것이었다. CERN에 따르면 소립자는 빛보다 60나노초(nsec.10억분의 1초) 빠르게 측정됐다.
빛보다 속도가 빠른 물질을 측정했다는 것은 별 것 아닌 것 같이 보이지만, 개념적으로 여러 가지 충격적인 의미를 지진다. 현재까지 물리학에서는 빛보다 빠른 것은 없다는 1905년 나온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E= mc²)의 원리였다. 우주에서는 초당 29만9792㎞ 속도가 한계였던 셈. 이번 발견이 사실로 확정될 경우 아인슈타인의 공리가 깨지고 물리학의 기본축이 바뀔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우주에 있는 그 어떠한 것도 이보다 빨리 여행할 수 없다는 내용의 특수 상대성 원리가 신뢰성을 잃게 된다.
질리스 CERN 대변인은 인터뷰에서 “발견자들이 어찌나 놀랐는지 스스로 믿지 못해 이번 발견에 대한 개별적인 확인 의견을 구하고 나설 정도였다”고 밝혔다. 공개 세미나도 열고, 각국 과학자들과 연구소에 의견 요청도 해 둔 상태다.
CERN 측은 "우리는 이 결과에 자신감이 있다. 측정값이 왜곡되지 않게 하기 위해 확인하고 또 확인했다"며 "이제 우리는 독립적으로 결과를 확인할 동료들을 원한다"고 덧붙였다.
전자신문미디어 테크트렌드팀 trend@etnews.com
빛보다 빠른 타키온이라는 가상입자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지만, 실제 측정으로 발견된 것 같네요.
현대과학의 축이 또한번 크게 이동할거 같네요. ㅋㅋㅋ
이자크 벤토프가 쓴 우주심과 정신물리학에서는 너무도 빨라서 역으로 우주 어디에나 동시에 정지해 있을수 있는 존재에 대해서 과학적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다분히 동양에서 말하는 영혼과 신을 본체적인 법신과 현상적인 식신(원신과 주신)으로 이어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유행한 시크릿이란 책도 인간을 몸에 갇힌 존재가 아니라 우주끝까지 퍼져나가는 파동으로 이야기한 것도 같은 예죠.
골치아플수도 있지만 한번 읽어보세요 ㅋ
우주심과
정신물리학
제4장.
시간에 대한 실험
(2)
무소부재(無所不在)
초음속
비행기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데 한 시간 반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주비행사는 15분 만에 대서양을 횡단한다. 그런데 지금
30초 만에 런던과 뉴욕을 왕복할 수 있는 비행기를 개발했다고 상상해보자. 비행기 안에서 스튜어디스한테 우리가 어디쯤 날고 있는지 물어보았다
치자. 그녀는 다음과 같이 대답할 것이다.
「방금
뉴욕을 출발 했습니다 ..... 런던에 거의 다 왔습니다..... 어머나! 우리는 지금 뉴욕으로 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이렇게
되면 질문이나 대답이 성립되지 않는다. 어찌됐거나 거의 동시에 두 장소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이제
빛만큼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비행체를 만들었다고 가정하자.
이는
매초 일곱 번 정도 지구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비행체를 이용하면 우리는 1초 안에 지구의 모든 장소를 구경할 수 있다. 또한
지구상에 있는 사람은 어떤 위치에서든지 우리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지구 둘레에 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의 껍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번에는
거의 무한 속도로 우리가 움직이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러면
1초 동안에 태양계(이
경우에는 은하계나 우주라도) 주위를
여러 번 돌거나 횡단할 수 있게 되어 태양계 안에 빈틈없는 이동 곡선을 그리고 된다. 실제로 그렇게 되면 조금도 시간이 걸리지 않으면서도 모든
곳을 볼 수 있고, 모든 곳에 존재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는 무소부재(無所不在)할 수 있다.
이렇게
처음에는 신기하던 무소부재도 차츰 시들해지고, 또한 웬만큼 고속에 익숙해지면, 그렇게 빨리 태양계 둘레를 도는 것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그래서 이번에는 태양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싶어진다.
그러려면
먼저 우리가 여행하는 속도에 버금갈 만큼 고속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가 개발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컴퓨터 제작에는 엄청난 시간과
경비가 뒤따른다. 그런데 바르고 값싸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바로 우리의 상상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래서
우리는 태양계에 대한 정보를 나오는 대로 모두 흡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무소부재할 뿐만 아니라 전지(全知)하게
된다.
이제
우리 자신은 모든 것을 보고 모든 것을 알면서 태양계 주위의 진동하는 껍질 속에 깜박거리면서 두루 존재한다. 이렇듯 훌륭한 기술적인 업적을
달성하는 데 드는 어려움들을 모두 무시한다면, 무한에 가까운 속도를 얻는 것은 우리에게 흔해빠진 일이 될 것이다.
이제
잠시 내면으로 시선을 돌려 지금 우리의 상태에 대해 심사 숙고해보자.
그러면
역설적이긴 하지만, 그렇게 빨리 움직이는 것은 곧 동시에 모든 장소에 정지해 있는 것과 같다는 결론이 나온다! 만약에 우리가 어떤 방법으로든
우리의 의식을 확장시켜서 <관찰자
의식>이
전 우주 공간을 채우게 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그렇게 빠른 속도로 여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이제 우리는, 무한 속도를 얻는 것은 또 다른 높은 차원의 휴식 상태나 존재 상태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여기서 일단락
지어진다.
이제
도표로 돌아갈 때가 되었다.
〔그림
23〕과
동일한 <객관적
좌표계>를
가진 도표 하나를 그리자.
<객관적
좌표계>는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공간과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에 주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점선을, 앞에 그려 놓은 객관적
좌표계에 평행하게 그려놓자〔그림 24〕.
우리의 의식이 멀쩡한 <평범한> 의식 상태에서는 두 좌표계는 평행하게 겹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두 좌표계는 서로 떨어졌다
붙었다를 거듭하며, 대략 한 시간 반마다 반복한다.
변경된
의식 상태에서는 주관적인 시공간의 좌표계는 객관적인 좌표계에서 분리되어〔그림
25〕에서
보듯이 원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주관적인 좌표계를 임의의 각도 A만큼 오른쪽으로 회전시킨 다음, 1초를 표시하는 지점에서 객관적 공간 좌표축에 수평으로 선을 긋는다(이것은
객관적 시간에서의 1초에 해당하는 주관적 시간을 나타낸다).

이제 그 선이 주관적 시간축과 만나는 교차점을 살펴보자.
현재
지점에서 교차점까지 사선을 따라 거리를 재보면 주관적인 시간의 단위가 객관적인 시간의 단위보다 길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우리가 일에 몰두해 있을 때는 <시간이
더 많아진>것처럼
느껴진다. 실제로 이 도표에서 주관적인 시간 4초와 객관적 시간 1초가 대응하는 것은 각도를 적당히 선택하여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환각제를
복용한 상태에서 상대방이 말하는 소리를 듣고 있는 사람의 경우로 돌아 가보자. 말하는 사람이 1초당 한 단어씩 이야기 한다고 하자.
환각제를
복용한 사람은 의식이 변경된 상태이므로, 말을 듣는 데에 주관적 시간을 보다 많이 가지게 될 것이며, 따라서 단어를 해석하는 데 훨씬 유리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정신활동은 정상적인 객관적 속도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과 비슷한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마디가 있는 막대를 세워놓았다고 치자.
이때
태양이 기울어진 각도에서 비치면 막대의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진다. 따라서 마디 사이를 훨씬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그림
26].
눈치
빠른 독자는 아마도 이쯤에서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이다.
「왜
그렇게 복잡하게 설명하는가? 우리의 정신작용이 매우 빨라졌으며, 따라서 지각능력도 훨씬 높아졌다고 가정하면 이 모든 현상은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시간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복잡하게 주관적인 시간이니 공간이니 하는 것들을 예로 들 필요가 없다.」
그러나
나중에 다시 보겠지만, 이것은 경우가 매우 다르다. 도표로 돌아가서, 경사각 A가 증가할수록 주관적인 시간은 엄청나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주관적 시간축이 수평축에 가까이 갈수록 객관적 시간 1초당 주관적 시간은 수백만초가 된다. 왜냐하면 객관적 시간 1초를 나타내는 점에서
수평선을 그어서 기울어진 주관적인 시간축과 만나는 지점은
<현재>를
나타내는 원점으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각도가
89도를 넘을수록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이 시간의 비율은 급속도로 커진다. 89.9도에서는 그 비율이 573이다. 그리고 89.999도에서는 그
비율이 백만이 넘는다)
또한
주관적인 시간축이 완전히 기울어져 마침내 수평이 되면, 주관적 시간은 무한대로 길어지며, 이런 조건 하에서는 객관적 시간은 거의 필요 없게
된다.
*(각도
A가 90도가 되면 주관적인 시간이 무한히 길어진다. 이것은 코사인 90도가 0이기 때문이다. 주관적인 시간 = 1/cosine A = 1/0
= 무한대).
이쯤에서
두개의 시공간 좌표로부터 배운 사실을 정리해보자.
〔그림
23〕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빠르게 움직일수록 수평축에 더욱 가까워진다는 것이다. 즉
<공간형(空間形)>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그림
25〕를
통해서는 주관적인 시간축이 수평으로 기울어질수록 주관적인 시간을 더 많이 가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그림을 합칠 경우, 주관적 시간축을 기울일수록 우리가 더욱
<공간형>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것은 변경된 의식 상태에서 우리가 급격히 공간으로 팽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의식이 확장할수록 공간으로 팽창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일은 광속보다 느린 속도에서나 빠른 속도에서나 관계없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주의 깊은 독자라면 아마도, 주관적인 시간을 취급하고 있을 때에 우리가 광속(光速)의 벽을 버릇없이 슬그머니 빠져나가버린 것을 눈치 챘을
것이다. 이것은 물질적 물체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우리의 관찰자는 비물질적 실체이므로 이러한 일을 하는데 아무런 문제도
없다.
하지만
관찰자는 아직도 가늘게나마 신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체의 감각기관은 여전히 외부에서 받아들이는 정보를 빠짐없이 관찰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관찰자는 비록 느슨하기는 하지만 아직도 물질적 시공간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광속의
벽을 통과함으로써 관찰자는 그 자신이 공간형 우주에 있는 것을 발견한다. 여기는 속도의 제한이 없고, 시간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낯설고 새로운
우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