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덕일의 천고사설] 노학자의 회고록 읽기 2015.03.19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15fcc130926b40cabe038acd2b828d5a


최재석 교수는 1985년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과연 조작되었는가”라는 논문을 필두로 한국 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이른바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을 비판하는 여러 논문과 저서를 간행했지만 식민사학자들이 지배하고 있는 학계는 묵묵부답일 뿐이었다. 한국사회학회에서 네 번씩이나 최 교수를 학술원 회원으로 추천했지만 학술원은 그때마다 아무런 이유 없이 탈락시키고 대신 연구논문 한 편 없는 이모, 홍모 교수를 선출했다. 식민사학의 산실인 와세다대학에서 “고대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해 같은 대학의 교수가 된 한 교수는 식민사학을 비판하는 최 교수의 논문을 단번에 게재불가 판정을 내렸다. 이런 회고를 읽다 보면 해방 70여년이 되도록 노벨상 수상자 한 명 없는 현실이 자연히 이해된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앞날이 막막한가? 3000년 인간살이 빅 데이터 『사기』를 봐라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403187&cloc=olink|article|default  사마천(BC 145~BC 86 추정)의 『사기(史記)』. 역사가들은 이걸 ‘절대 역사서’라 부른다. 한(漢)나라의 국립도서관장이었던 사마천은 3000년에 걸친 중국의 역사, 그 속에서 피고 졌던 숱한 인물의 생애를 역사로 남겼다. 그게 한자(漢字)로 52만6500자다. 무려 130권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40대 초반에 집필을 시작해 55세에 완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 앞날이 막막한가? 9000년 인간살이 빅 데이터 『환단고기』를 봐라 

http://www.hwandangogi.or.kr/hwan/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식민사학자들이여 입을 열어라 2015.03.19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83113.html

 최재석 교수는 <역경의 행운>에서 한국 주류 사학계를 향해 이렇게 요구한다.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조작이라 주장하는 쓰다 소키치, 이마니시 류, 미시나 쇼에이, 스에마쓰 야스카즈 등 대표적인 식민사관 주창자들의 주장을 ‘학계의 정설’이라고 한 근거를 밝혀달라. 한마디로, “일본 고대 사학자 거의 전부가 달라붙어 고대 한국을 일본의 식민지였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여기에 대해 시종 입을 다물고 침묵을 지키고 있는 이유를 설명해 달라”는 얘기다. 아직 어떤 대답도 듣지 못했다고 그는 말한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사)대한사랑, 동북아 시원문명 전시 열어 2015.03.17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0606
(사)대한사랑 전북지부가 주최·주관하는 ‘2015 동북아 시원문명전’이 18일부터 21일까지 전북대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것.....전시회에서는 세계 4대 문명권보다 1~2천 년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인류의 홍산문명과 관련된 유물 40여 점과 회원들이 중국 현지와 박물관에 촬영한 사진 등을 담은 패널 30개가 전시된다. 특히 홍산문명 유적지에서는 정교하고 다양한 옥기류가 쏟아져 나왔는데,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주 전시를 시작으로, 4월 21일부터 4월 24일까지 장수군청, 5월 19일부터 5월 22일까지 완주군청, 6월 23일부터 6월 26일까지 김제시청으로 전시가 이어진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영국 거석유적 스톤헨지는 제단 떠받치던 기둥" 2015.03.16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881693  

거대한 돌기둥으로 이뤄진 영국 선사시대 유적 스톤헨지는 제단을 떠받치던 기둥이었다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예술 비평가이자 전직 박물관장 출신인 줄리언 스폴딩은 자신의 저서 '자각:보고 이해하기-예술의 기원'에서 스톤헨지에 남아있는 돌기둥이 하늘과 가까운 곳에서 의식을 치르기 위한 원형 나무 제단을 떠받치던 기둥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한국사 연구에 평생 바친 외곬인생, 논문 8번 거부당해…왜?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최재석 교수의 회고록
http://www.nocutnews.co.kr/news/4380654 (2015-03-11 노컷뉴스) 자신과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반론을 실어주지도 않는 학술지, 교수 승진 심사를 둘러싼 음험한 뒷거래, 정확하지 않은 역사적 사실을 아무렇게나 기술한 국사 교과서, 수십 년 연구 결과물보다 유학 가서 받아온 학위서 한 장을 더 높이 평가하는 풍토, 연구활동보다 '정치'를 잘하는 사람들이 윗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 등 우리 사회의 축소판을 보는 듯한 학계의 뒤틀린 풍경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식민사학 얼룩’ 한국 고대사 오류 파헤쳐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이도상 지음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26172400545558026 역사학자 이도상 박사가 최근 펴낸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은 식민사학으로 얼룩진 한국 고대사의 핵심 오류들을 분석하고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 또 여러 권 나왔네요. 식민사학은 까도까도 끝이 없나봅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식민사학 얼룩’ 한국 고대사 오류 파헤쳐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이도상 지음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26172400545558026 역사학자 이도상 박사가 최근 펴낸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은 식민사학으로 얼룩진 한국 고대사의 핵심 오류들을 분석하고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 또 한권 더 나왔네요. 식민사학은 까도까도 끝이 없나봅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식민사학 비판 책 목록]

◈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 이희진 | 소나무 | 2008.08.10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 이덕일 | 역사의아침 | 2009.09.04
◈노론 300년 권력의 비밀 | 이주한 | 역사의아침 | 2011.09.30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 김운회 | 역사의 아침 | 2012.01.27
◈엉터리 사학자 가짜 고대사 | 김상태 | 책보세 | 2012.06.11
◈한국 고대사 바꿔 써야 할 세 가지 문제 | 이도상 | 역사의 아침 | 2012.08.27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 이주한 | 역사의아침 | 2013.01.30
◈한국고대사와 그 역적들 | 김상태 | 책보세 | 2013.06.03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 | 이희진 | 책미래 | 2014.03.25
◈우리 안의 식민사관 | 이덕일 | 만권당 | 2014.09.04
◈식민사관의 감춰진 맨얼굴 | 황순종 | 만권당 | 2014.09.05
◈식민사학과 한국 근대사 | 하지연 | 지식산업사 | 2015.02.25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 | 이도상 | 들메나무 | 2015.03.10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3/15(일)은 단군왕검 어천절

단군왕검께서는 BC 2370년 신묘년(辛卯年) 음력 5월 2일 인시(寅時)에 탄생하시고 BC 2333년(단기 원년)에 조선을 개국하시어 93년을 통치하시다가, 음력 3월 15일 붕어하시니 이날을 기려 어천절(御天節)이라고 한다. 1910년 대종교의 나철(1863~1916) 대종사가 음력 3월15일을 ‘어천절’로 정하고, 천제를 지낸 이후 상해 임시정부까지 이어져 왔으며 그후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문헌 : 단군 어천절의 기원은 김부식의『삼국사기』와 일연의『삼국유사』에는 나오지 않고, 행촌 이암 선생이 저술한 『단군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是歲三月十五日 帝崩于蓬亭 葬于郊外十里之地 萬姓如喪考 奉檀
晨夕合坐敬拜 常念不忘于懷 『단군세기』
이 해(환기 4957, 신시개천 1657, 단기 93, BCE 2241) 3월 15일에 단군왕검께서 봉정(蓬亭)에서 붕어하시니 교외 십 리 되는 곳에 장사지냈다. 모든 백성이 부모를 잃은 듯 슬퍼하였고, 단기(檀
)를 받들어 아침저녁으로 모여 앉아 경배하며 항상 단군왕검의 덕을 가슴에 품고 잊지 않았다.

◈댕기머리 풍속 : 수천 년 동안 어린아이의 머리에 고운 비단헝겊을 달아 주는 '단기(댕기)'는 바로 초대 단군왕검을 추모하여 받든 조기弔旗인 단기檀
가 변형된 것이다. 우리 민족 고유의 댕기 풍속은 단군왕검의 자손임을 표시하는 생생한 징표이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담양군 대전면 중옥리 서옥고분군 12호 분이 최근 시신없는 고분으로 확인돼 조성 경위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재)대한문화재연구원의 학술 발굴 조사 결과, 시신을 매장하는 무덤 방을 만들지 않고 길이 90㎝가량의 철제대도(鐵製大刀)만을 매장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인접한 4호 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은 인도네시아에서 만든 것으로 밝혀졌다. 백제시대인 5세기 후반 영산강 상류에 자리한 담양 대전면 일대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25913200545295087 (서옥 12호고분2015년 03월 10일 광주일보)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