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학원] 한국 상고사(上古史)의 대부, 故 최태영박사의 KBS인터뷰

"남들 황천길 떠날 나이에 하늘의 사명을 받았으니"

https://m.youtube.com/watch?v=d-4J9DpK6Ak


최태영박사는 서울대학교 법대 초대학장(1947년)을 역임한 ​대한민국 최초의 법학교수이며 한국사 상고사上古史 연구의 권위자이다.


■일본 역사학자들의 고백  - 최태영 박사 KBS 대화對話 

https://m.youtube.com/watch?v=z66-2jzHOXA


최태영(1900~2005년)박사는 일본 메이지 대학에서 1924년 법학사를 마치고 우리나라에 들어와 1925년 한국인 최초로 법학 교수(보성전문학교 법학교수)가 되었다.


■역사를 바르게 하는 작업 동반자들 - 최태영박사의 KBS인터뷰

https://m.youtube.com/watch?v=FN7Am3EyWEI


최태영박사 경력,학력,저술,수상내역 입니다.


최태영박사의 저술 도서는 [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한국상고사,인간 단군을 찾아서,한국상고사입문,한국상고사-일어판,서양 법철학의 역사적 배경과 현행 어음·수표법등 다수,..]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역사광복歷史光復과 한국상고사上古史 연구로 한민족 국통맥 복원에 일평생을 헌신하였습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소도(蘇塗)와 솟대(立木)의 제천문화 (박정애 시인)  

www.yangsa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1349

 솟대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힌 것을 말한다. 음력 정월 대보름에 마을에서 동제를 모실 때, 마을의 안녕과 수호 그리고 풍년을 염원하는 뜻으로 마을입구에 세운다. 솟대는 장승, 선돌, 돌탑, 신목(神木)과 함께 마을의 신으로 모셔진다. 솟대 위의 새는 보통 오리인데 이것은 고대 삼족오로 태양 속에 있다는 다리가 3개인 새다. 발이 3개인 것은 `세우다`는 뜻이다. 새는 하늘과 사람, 땅을 연결하는 단군을 의미하고 인간의 염원을 하늘에 전달해주는 역할로 보았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다섯 명의 마늘 소녀들, 한국 DNA의 표본" http://v.media.daum.net/v/20180227213602324

외신 "컬링 여자 대표팀 메달 획득, 한국 성공 신화와 유사"
- 英 FT "한국의 마늘소녀들, 동계올림픽을 정복하다"
- 컬링장 유치 당시 주민 반응.. '얼음 위에 왜 요강을 굴리나?'
- 세계적인 시설이 있어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이라는 요소
- 의성 마늘밭 한복판에 컬링장, 무모한 모험이었지만 결국 '성공'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팟빵]역사이다
NEW UPLOAD

▶[스페셜 게스트_정상규] 3.1절 99주년을 기념하며 1부

✏ 독립운동가 어플 제작 및 저술 활동까지!
정상규씨와 함께 삼일운동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숨은 주역들을 알려드립니다.

☞ 독립운동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한국
☞ 삼일운동인가? 삼일혁명인가?
☞ 임시정부가 인식했던 삼일운동의 정신
☞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은 3.1운동, 중국 5.4운동, 인도 비폭력저항운동
☞ 상해임시정부의 씨앗, 신한청년당에서 파리강화회의에 한국 대표단을 파견
☞ 여운형과 윌슨 대통령 특사의 극적인 만남
☞ 삼일운동의 기폭제가 된 고종황제의 독살
☞ 궁녀에게 식혜를 건넨 사람은 이완용
☞ 탑골공원 단상에 올라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만학도 학생
☞ 대한독립의용단을 아시나요
☞ 임신한 몸으로 폭탄을 던진 안경신 여성독립운동가
☞ 무장투쟁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다
☞ 조선 독립운동의 문을 다시 연 강우규 의사
☞ 의열단 창립멤버 절반 이상이 신흥무관학교 출신
☞ 일제는 어떻게 삼일운동을 탄압했는가
☞ 삼일운동 공략
☞ 봉오동전투의 비하인드 스토리
☞ 최운산 장군의 후손이 국가보훈처 공무원에게 당한 치욕
 
(2부에서 이어집니다.)
 
역사이다 팟캐스트 듣기
→ http://podbbang.com/ch/13321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 아베, 과격하게 위안부 사과 거부
https://youtu.be/x-IETtFOerc

●[영상] ‘참혹하고 처참했던’ 현장…위안부 학살 영상 최초 공개 | KBS뉴스    2018.2.27
https://youtu.be/4Pg4gIG6u24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학살을 증명하는 영상이 촬영된 지 73년 만에 최초로 공개됐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는 오늘(27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3·1절 99주년을 기념해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를 열고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학살 영상을 공개했다.
 
그동안 일본군이 위안부를 학살했다는 증언과 기사 등은 공개된 적이 있었지만, 학살 현장을 촬영한 영상 공개는 처음이다.
 
일본의 아시아·태평양 전쟁 패전 직전인 1944년 9월 중국 윈난성 등충에서 미·중 연합군이 찍은 이 영상은 위안부가 학살된 뒤 버려진 모습을 담고 있다.

일본군의 집단 자결 명령을 거부했던 위안부는 민간인과 함께 일본군에 의해 살해당했다.

■ [ 일본군 위안부로 20만명 ]이 일본군에게 끌려갔지만 "238명" 만이 살아 돌아왔다.

* 7만명 시민들이 만든 위안부 영화 '귀향' / YTN
https://m.youtube.com/watch?v=QLEbCVniaPM

20만 명이 일본군에게 끌려갔지만 238명 만이 살아 돌아왔고, 지금은 단 46명만 남아있는 위안부 피해자들.

조정래 감독은 영화 한 편이 상영될 때마다 타향에서 생을 마감한 소녀들의 영혼이 한 명씩 고향으로 돌아왔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습니다...(중략)~

*아베 비판 서명 학자, 500명 육박 / YTN
https://m.youtube.com/watch?v=h8lXN8Tm2ho

* 충격! 애니 위안부 피해자의 '끝나지않은 이야기' 주제곡 I Remember me   [기획:여성가족부]
https://m.youtube.com/watch?v=FS1GkgsTbCI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팟빵]역사이다

NEW UPLOAD 


▶기자조선의 실체 2부


✏ 실체가 없던 것이 확대재생산 되었습니다.

기자조선의 실체 살펴보시죠!


☞ 조선 초의 기자 숭배 분위기

☞ 정도전 조선경국전의 국호론

☞ 주나라를 이상적인 통치국가로 봤던 조선 유학자들

☞ 기자사당에 합사된 단군

☞ 위패봉안의 위치와 위패명

☞ 16세기 기자 숭배는 계속되고: 이황,이이

☞ 율곡이 <기자실기>를 지은 이유

☞ 중국 사신이 기자실기를 읽고 경탄하여 한 말

☞ 우리나라에 성리학 중심의 사대사상이 뿌리내리게 된 과정

☞ 송시열과 허미수의 역사관 대립

☞ 최익현 선생의 "기봉강산"

☞ 제왕운기의 164년 공백기는 환단고기로 밝혀지다

☞ 역사기술에 있어서 골칫거리였던 기자조선

☞ 기자는 어디서 살다 어디서 죽었나

☞ 기자묘는 어디에 있는가

☞ 기씨조선이 구체화되서 만들어지는 과정

☞ 번조선의 부단군이었던 기자의 일부 후손들

 

역사이다 팟캐스트 듣기

http://podbbang.com/ch/13321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My way 선언한 동북아역사재단

그는 “재단에서 2년간 상고사 관련 토론회를 진행한 결과 학술적 합의점을 찾을 수 없었고 더 이상 하지 않기로 결론지었다”며 “앞으로 외부의 간섭 없이 재단이 자생적으로 가야 할 길을 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2853170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6만4000년前 스페인 동굴벽화 주인공은 '네안데르탈인'  2018.02.23.  http://v.media.daum.net/v/20180223040022082?f=m 구석기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그린 것으로 알려졌던 스페인 동굴벽화가 현생인류 출현 시기보다 2만 년 앞선 약 6만4000년 전에 그려진 것으로 새로 밝혀졌다. 이 시기는 아직 유럽에 현생인류가 살지 않던 때로, 벽화를 그린 예술가는 네안데르탈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와 비슷한 미적 감각이 있었음을 증명하는 최초의 증거라고 주장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홍익희의 음식이야기] 콩의 원산지는 우리나라  2018.02.22 http://v.media.daum.net/v/20180222185458543 콩(대두)은 오랜 기간 한민족의 단백질과 지방을 책임져 왔다. 농학에서 콩의 원산지를 한반도와 만주 남부로 보고 있다. 5000년 전에 콩 재배가 시작돼 북한의 회령 오동 고조선 유적지에서는 기원전 1300년경의 청동기 유물과 함께 콩, 팥, 기장이 나왔다. 실제로 콩의 원산지가 한반도임을 뒷받침하는 실증적인 조사가 있었다. 1920년대 미국은 식량 종자 확보를 위해 세계 각지의 야생작물 채취에 나서 한반도에서 전 세계 야생 콩 종자의 절반이 넘는 3379종의 야생 콩을 채취했다. 이후 1947년까지 1만개의 콩에 대한 유전자형을 우리나라에서 수집해갔는데, 동아시아에서 수집한 콩 종자의 74%에 달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
728x90

의병장 후손 데니스 텐, 제2의 조국서 마지막 올림픽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16&aid=0001354967 한국에서 수천km 떨어진 카자흐스탄, 이곳에는 전 국민적 인기를 몰고다니는 피겨 스타가 있다. 그의 이름은 데니스 텐(24). 흡사 ‘피겨 여왕’ 김연아에 비견할 정도의 스타다. 텐이 2014 소치 대회 동메달을 따낸 후에는 나라 전체가 피겨 열기로 들끓었다..... 텐의 몸 속에는 한국인의 핏줄이 흐른다. 그의 고조할아버지는 항일 의병장 민긍호 선생이다. 민긍호 선생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 후 의병부대를 조직해 항인 투쟁을 이어나간 인물로, 정부는 공로를 인정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민긍호 선생 사후, 일가는 우여곡절 끝에 카자흐스탄에 정착했다.
Posted by 바람을본소년
,